사회복지 사업 이야기

사회복지 교육 / 홍보로 사회사업 하기 / 푸른복지 김종원 선생님

내이름은수지 2020. 2. 16. 22:13
728x90
반응형

오랜만에 사회사업과 관련된 교육을 듣고

사회복지 홍보백과 워크숍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을 찾았다.

교육은 일전에 한 번도 방문해보지 못한 '서울특별시 사회복지사협회'에서 진행되었다.

 

 

 

오늘은 교육과 워크숍이 병행된 일정이다.

홍보로 사회사업하기라는 주제로 푸른 복지 김종원 선생님이 진행한다.

작년에는 동영상 제작에 관심이 있어 이성종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다.

그로 인해 동영상 제작에 조금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던 계기가 되었다.

영상 촬영을 하면서 느낀 점은

'영상만 찍다가는 영상 전문가가 될 것 같다, 나는 사회사업가(사회복지사)인데'라는 생각이 컸다.

그래서 '홍보로 사회사업하기'라는 주제에 이끌려 이 교육에 참석하게 되었다.

김종원 선생님도 사회사업가이며 장애인복지 현장에서 근무 경험이 있었다.

현장에서 실무를 하며 경험했던 이야기를 조금씩 풀어내며 진행하는 교육은

역시 귀에 쏙쏙 들어왔다.

이런 분들을 보며 항상 느낀 점은 현장에 있을 때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와

어려움을 경험했을까 하는 생각이 크다.

그러한 경험과 어려움을 겪지 않고서 저 자리까지는 올라갈 수 없었을 것이다.

 

 

 

 

홍보사회사업이란?

당사자와 지역사회 스스로가 복지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알리고,

더불어 살자고 제안하는 활동입니다.

방법을 알리고, 제안하는 활동이다.

오전에는 김종원 선생님이 생각하는 사회사업의 홍보와 관련되어 이야기를 나누었다.

현장에서 실무를 하며 경험했던 이야기를 기반으로 풀어내니 많은 공감이 되었다.

나는 사회사업(사회복지)를 하며 홍보를 주로 맡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본인의 사회사업을 홍보하는 건 사업 담당자가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차원에서

이 교육을 들으러 왔다.

 

 

 

 

 

 

 

 

오후에는 사회복지 홍보 백과에 나와있는 여러 가지 정보 중

주제를 정해서 관심분야가 일치하는 사람들끼리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나는 '글쓰기'라는 주제를 선택하려다...

'사진'이라는 주제를 선택했다.

평소 사회사업을 하며 불편한 사진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다.

'사진'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안산시상록장애인복지관, 고양시대화노인복지관 사회사업가분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초상권과 사진촬영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두 주제와 관련하여 이야기 나눈 것을 잠깐 정리해보면

모든 사진은 초상권을 준수해서 촬영을 해야 한다.

초상권을 침해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인 정보 제공 동의서(사진 촬영 내용 포함)'를 받아야 하며

비교적 초상권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아동, 노인, 장애인분들에게는 보호자에게 동의를 얻어야 한다.

처음에 초상권에 동의하여 촬영에 협조하였으나 기관 소식지 등이 발간되고

본인 부분의 삭제를 요청하면 어찌 되었건 당사자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니

삭제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초상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불가피한 촬영 시에는 모자이크를 처리하고 있지만

모자이크 자체가 '감춘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 모자이크는 지양하고

다른 방법을 활용(일러스트, 도구 등) 해야 한다.

사회복지사가 사진을 촬영할 때는 불쌍해 보이지 않게 찍어야 한다.

이는 누구나 동등한 입장으로 보일 수 있게 촬영을 해야 한다.

이를 뒷 받침 하기 위해서는 한 발짝 다가가기, 카메라 눈높이 맞추기,

사진 촬영용 현수막 제작 시 불편한 용어(취약계층, 저소득 등) 지양하기가 있다.

이렇게 2시간 동안 평소 관심 있던 분야에 대해서 열띤 이야기를 나누고 정리하니

다른 사회사업가가 생각하는 부분을 알 수 있고 나의 생각도 공유할 수 있었다.

 

 

 

 

 

 

 

 

 

2시간 동안의 이야기를 정리하여 서로 발표하는 시간도 가졌다.

결국 홍보로 사회사업하기의 큰 주제는

사진에 따뜻함이 담겨있고(지역사회, 지역주민의)

글에 지역주민의 이야기가 있어(읽고 싶고, 자랑하고 싶고)야 한다는 것 같다.

 

728x90
반응형